국립부경대학교 | 휴먼ICT융합전공

전공성과

작성자,작성일,첨부파일,조회수로 작성된 표
[2022.06.30.] 로컬 소상공인 디지털 마케팅 지원 프로젝트 성과보고회
작성일 2022-06-30 조회수 245
첨부파일

로컬 소상공인을 향한 우리들의 첫 발걸음

 

 

  

 

 

로컬 소상공인 디지털 마케팅 지원 프로젝트는 부경대학교-부산광역시-네이버(업무협약(MOU)의 일환으로
대학()생 디지털 전환 실무인력 양성과 로컬 소상공인의 자생력 증진을 도모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본 프로젝트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휴먼ICT융합전공의 2022년도 1학기 정규 교과목 [ICT프로젝트]로 편성되었으며,
참여 수강생(이하 우리’)은 로컬 소상공인 섭외스마트스토어 개선검색광고 기획 및 집행,
라이브 커머스 송출 등 실무 전반을 담당하였습니다.


우리의 첫 프로젝트에는 앤더이어(여성 패션 의류), 데이링크(여성 패션 의류), 골드클로버(여성 패션 의류), 인플럭스(유니 패션 의류),
밀리웨어(남성 패션 의류총 5개의 사업자가 함께하였고,

16명의 학부생이 각기 팀을 구성하여 사업자의 디지털 마케팅 지원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또한안정된 라이브 커머스 송출 지원을 위해 본과 학부생(휴학생) 2명과 대학원생 1명이 뜻을 모아 프로젝트 수행을 돕기도 하였습니다.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우리는 검색광고의 원리와 사업 운영·관리 등 온라인 비즈니스 전반에 대한 이해를 터득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마케팅 툴을 직접 활용함으로써 실무적인 디지털 마케팅 역량을 증진할 수 있었습니다.

 

 

이와 더불어스마트스토어 운영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표를 비교·분석하여 유의미한 지표 발굴을 위해 노력하였고,

결론적으로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매출 증대그리고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우리와 함께한 어느 사업자는 고객 니즈를 반영한 상세 페이지 개선으로 고객 체류 시간과 구매 전환율을 높이고
성별·연령대별 타깃팅 검색광고도 강화하여 스토어 찜(단골 고객)과 매출도 2개월 전 대비 2배 이상 증가시켰으며,

 다른 사업자는 검색광고 적용 상품을 중심으로 쇼핑 라이브를 진행해 2개월간 전체 매출은 직전 동기간 대비 6.4배 성장한 바 있습니다.

 

 

 

 

 

특히본 프로젝트는 대학과 지자체그리고 기업이 로컬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 및 성장을 위해 뜻을 모은 첫 사례로 의미가 있으며, 

우리 지역사회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소상공인으로 하여금 디지털 시대에 따른 자생력 증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을
피부로 직접 체감할 수 있었던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니고 있습니다.

 

 

나아가네이버 대표이사님께서는 활동 과정에서 우리가 흘린 땀과 눈물이 값진 의미를 지닐 수 있도록
본 활동을 증명하는 수료증을 선물하셨으며우수성과를 보유한 팀에게는 상장을 수여해 주시기도 하셨습니다.

 

 

처음 수행되는 프로젝트였던 만큼 우리는 정말 많은 시행착오를 경험하였으며라이브 커머스 스튜디오를 구성하기 위해 많은 논의를 거쳤습니다.

그리고교수님을 비롯해 다양한 전문가분들의 특별 강연으로부터 우리가 잘 모르고 있었던 분야에 대하여 배울 수 있었으며,

우리의 실험이 더 큰 파도를” 일으킬 수 있도록 기대합니다.

 

 

-로컬 소상공인 디지털 마케팅 서포터즈 1기 일동-

 

 

강가연강경호김다빈김다영김민주,
김소현김수아김주원김지수김희원,
박지혜이승호이해원정다운정은서,
추단비하희라허다은

 

 

담당교수

김정환 교수

 

 

T/A

최창욱 석사과정

 

 

 

 

작성자최창욱

 

  

다음 [2022.07.11.] 고려대학교 지능정보기술 현장탐방
이전 [2022.06.30.] 부경대학교 · 부산광역시 · 네이버(주) 간 업무협약식